다양한 방법을 생각하지 못하는 기능적 고착화!
1. 기능적 고착화란?
기능적 고착화는 사람들의 생각이 고정되어 어떤 대상, 물건, 상황, 현상 등에 대하여 늘 사용해 오던 방식으로 생각하고 사용하는 경향을 말합니다. 기존의 사고방식으로 한정시키는 인지 편향입니다. 물건, 상황 등에 대해 보수적이거나 친숙한 용도로만 보는 현상으로 대안적이고 다른 기능 등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제한 합니다.
![]() |
![]() |
![]() |
2. 기능적 고착화의 예시들
기능적 고착화에 대한 현상들을 생각할 때 문득 떠 오르는 것이 많습니다. 지금 내 주위에 클립이 있습니다. 클립은 종이를 묶어 고정합니다. 하지만, 능력자는 자물쇠를 열 때 열쇠 대신 클립을 펴서 사용합니다.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핸드폰은 초창기에 통화, 문자 전송 등 품질 향상에 우선하였습니다. 터치스크린의 기술이 도입되고 앱 설치가 가능한 스마트 폰이 출시되면서 완전히 다른 기능의 핸드폰으로 발전했습니다. 결국, 기술을 따라가지 못한 핸드폰은 없어지고 말았습니다. 못을 박을 때 일반적으로 망치를 찾습니다. 하지만, 망치가 없고 옆에 스패너가 있으면, 스패너를 사용하여 못을 박을 수 있습니다. 스패너는 파이프의 렌츠를 조이거나 풀 때 사용하지만, 필요시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환기하기 위해 방문을 열었습니다. 바람이 불어 문이 '쾅' 하고 닫혔습니다. 문을 고정할 것이 필요한데 특별히 보이는 것이 없습니다. 책장을 보니 두꺼운 책이 있어 문이 닫히지 않게 고정하였습니다. 이렇듯, 기능의 한 가지만 생각하고 다른 것을 볼 수 없는 것들이 기능적 고착화의 예입니다. 하지만, 여러 대안이 있습니다.
![]() |
![]() |
![]() |
3. 기능적 고착화 극복 방법
기능적 고착화 극복은 물건을 사용하는 기능에 대해 단순하게 생각하는 것보다 다른 관점에서 물건을 바라보는 습관을 지녀야 합니다. 기존의 사용 목적이 있지만, 사용하는 용도를 의도적으로 다르게 사용할 수 있는지 생각하는 것도 필요합니다. 결국, 물건의 사용 기능은 사람의 생각에 따라 전혀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여러 사람과 함께 일하면서 새로운 관점과 아이디어를 공유하여 기능적 고착화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.
![]() |
![]() |
![]() |
'심리학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심리학 용어] 포러 효과 (Forer Effect) (0) | 2024.07.02 |
---|---|
[심리학 용어] 초점 효과 (Focusing Effect) (0) | 2024.05.29 |
[심리학 용어] 합의성 착각 효과 (False-Consensus Effect) (0) | 2024.05.09 |
[심리학 용어] 실험자 또는 기대편향 (Experimenter's or Expectation Bias) (0) | 2024.05.07 |
[심리학 용어] 과장된 기대 (Exaggerated Expectation) (0) | 2024.05.02 |